11.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 – 세속주의와 '정의'의 기초가 흔들리다
서론
현대 사회에서 정의는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지만,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여러 한계를 지닌다. 팀 켈러는 그의 저서에서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을 설명하며, 세속주의적 정의의 기초가 어떻게 흔들리는지를 논의한다. 이 글에서는 세속주의와 정의의 관계를 탐구하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정의의 기초를 살펴본다.
1. 세속주의와 정의
1.1 세속주의 정의의 개념
세속주의는 주로 이성과 과학적 합리성에 기초하여 정의를 추구한다. 이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고, 사회적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속주의는 종교적 신념 없이도 인간이 합리적 사고를 통해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
1.2 세속주의 정의의 한계
그러나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몇 가지 중요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세속주의는 도덕적 기준의 상대성을 인정하기 때문에,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도덕적 기준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정의의 기준이 사회적 합의나 개인의 판단에 의존하게 되어, 일관성과 객관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둘째, 세속주의적 정의는 권력의 남용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 억압받는 자가 권력을 잡으면 다시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세속주의적 정의관이 가진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
2. 억압받는 자의 억압자화
2.1 억압의 순환
역사적으로 많은 사례에서 억압받던 집단이 권력을 잡으면, 이전의 억압자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억압을 행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인간의 본성과 권력의 속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세속주의적 정의관이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가들이 권력을 잡으면서 새로운 억압이 발생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2.2 정의의 기초가 흔들리는 이유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도덕적 기준의 상대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권력이 바뀔 때마다 정의의 기준이 변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며, 정의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상실하게 만든다. 또한,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도덕적 권위를 제공하는 절대적 기준이 없기 때문에, 권력의 남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
3. 기독교적 정의의 기초
3.1 하나님의 정의
기독교적 관점에서 정의는 하나님의 본성과 뜻에 기초한다. 하나님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기준을 제공하며, 이는 모든 인간에게 적용된다. 기독교적 정의는 인간의 이성과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과 가르침에 기초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3.2 사랑과 정의의 조화
기독교적 정의는 사랑과 정의를 조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단순히 법적 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넘어, 이웃을 사랑하고, 약자를 보호하며,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이러한 기독교적 정의의 본질을 잘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억압을 없애는 것을 넘어, 사랑과 연대를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4. 세속주의와 기독교적 정의의 비교
4.1 세속주의 정의의 한계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도덕적 기준의 상대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한다. 이는 세속주의적 정의관이 가진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4.2 기독교적 정의의 강점
기독교적 정의관은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기준에 기초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랑과 정의를 조화시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며,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을 방지한다. 이는 기독교적 정의관이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결론
세속주의적 정의관은 도덕적 기준의 상대성과 권력 남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을 초래하며, 사회적 정의의 기초를 흔들리게 만든다. 반면, 기독교적 정의관은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기준에 기초하여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며, 사랑과 정의를 조화시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한다. 따라서, 세속주의적 정의관의 한계를 인식하고 기독교적 정의관을 통해 진정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앙책 요약 > 팀 켈러의 답이 되는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기독교 신앙은 답을 줄 수 있다 – 예수님 자신이 논증이다, 철학적 논증이 아니다 (0) | 2024.07.10 |
---|---|
10. 억압받는 자가 억압자가 되는 악순환 – 세속주의와 '정의'의 기초가 흔들리다 (0) | 2024.07.10 |
9. 선을 추구하면 이미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 세속주의는 ‘도덕적 딜레마’에 빠지다 (1) | 2024.07.10 |
8. 낙관론이 아닌 ‘깊은 희망’이 필요하다 – 세속주의는 ‘희망’을 고갈시킨다 (0) | 2024.07.10 |
7. 십자가에서 '겸손'과 '자신감'을 주는 정체성을 받았다 – 세속주의와 기독교적 정체성의 교차점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