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섬김(빌헬무스 아 브라켈)

아브라함에서 시내산까지의 교회(The Church from Abraham to Sinai)

정목사! 2024. 9. 7. 14:21

아브라함에서 시내산까지의 교회(The Church from Abraham to Sinai)는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의 언약과 구속사가 점차 구체화되고 확장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기간 동안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특별한 언약을 주시고, 이스라엘 민족을 형성하여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셨습니다. 아브라함에서 시내산까지의 교회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어떻게 이스라엘 민족을 통해 구체화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1. 아브라함과 언약의 시작

아브라함은 구약의 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부르시고, 그와 그의 후손을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언약을 맺으셨습니다. 이 언약은 아브라함의 신앙과 순종에 기초하여 이루어졌으며, 이후 이스라엘 민족의 탄생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 하나님의 부르심과 언약

하나님의 부르심과 언약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주어진 약속으로, 구약 교회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그의 고향에서 불러내어, 그를 통해 큰 민족을 이루시고, 그 민족이 하나님의 백성이 되게 하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창세기 12장 1-3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그의 언약을 약속하십니다: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너의 본토 친척 아비 집을 떠나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케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 하신지라."

이 구절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이 하나님의 특별한 백성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며, 이 언약이 구약 교회의 중요한 출발점임을 보여줍니다.

(2)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은 신앙의 본보기로,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그의 고향을 떠나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으로 향했습니다. 그의 믿음은 이후 그의 후손들, 특히 이스라엘 민족이 형성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히브리서 11장 8절에서는 아브라함의 믿음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장래 기업으로 받을 땅에 나아갈새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아갔으며."

아브라함의 믿음은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신뢰와 순종의 모범으로, 구약 교회의 기초가 되는 신앙을 보여줍니다.

2. 이삭과 야곱: 언약의 계승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과 손자 야곱은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하였으며, 이 언약은 이스라엘 민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점차 구체화되었습니다. 이삭과 야곱의 이야기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분의 계획이 어떻게 다음 세대로 이어졌는지를 보여줍니다.

(1) 이삭: 약속의 아들

이삭은 아브라함과 사라 사이에서 태어난 약속의 아들로, 하나님의 언약이 그를 통해 이어졌습니다. 이삭은 하나님의 약속을 받아들이고, 아버지 아브라함의 신앙을 이어받았습니다.

창세기 26장 3-4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삭에게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을 다시 확인하십니다: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내가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내가 네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이루어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케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

이 구절은 하나님의 언약이 이삭을 통해 계속 유지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야곱: 열두 지파의 조상

야곱은 이삭의 아들로, 그의 이름이 이스라엘로 바뀌며,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야곱은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하였으며, 그의 열두 아들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형성하였습니다.

창세기 28장 13-15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야곱에게 나타나시어,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주신 언약을 확인하십니다:

"또 본즉 여호와께서 그 위에 서서 가라사대 나는 여호와니 너의 조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라. 네 누운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을 인하여 복을 얻으리라.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너를 지키며 너를 이끌어 이 땅으로 돌아오게 할지라."

이 구절은 야곱이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하고, 그의 후손들이 이스라엘 민족을 형성하게 될 것임을 보여줍니다.

3. 요셉과 이스라엘 자손의 애굽 생활

요셉은 야곱의 아들 중 하나로, 그의 생애는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요셉은 애굽에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번성하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그의 이야기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보여줍니다.

(1) 요셉의 고난과 승리

요셉의 고난과 승리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보호하시고, 그들을 통해 구속의 계획을 이루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요셉은 형들에게 팔려 애굽으로 가게 되었으나, 하나님의 은혜로 애굽의 총리가 되어 그의 가족을 구원하게 됩니다.

창세기 50장 20절에서 요셉은 자신의 형제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사 오늘과 같이 많은 백성의 생명을 구원하게 하시려 하셨나니."

이 구절은 요셉의 고난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일부였음을 보여줍니다.

(2) 이스라엘 자손의 번성

이스라엘 자손의 번성은 하나님의 약속이 애굽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스라엘 자손들은 애굽에서 큰 민족으로 번성하였으며, 이는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출애굽기 1장 7절에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애굽에서 번성한 것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이 구절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애굽에서 하나님의 축복을 받아 번성하게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4. 모세와 출애굽: 구약 교회의 구원 사건

모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구원하기 위해 세우신 지도자로, 출애굽 사건은 구약 교회의 중요한 구원 사건으로 기록됩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시점이며,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백성으로 다시 태어나는 계기가 됩니다.

(1) 모세의 부르심

모세의 부르심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구원하시고자 계획하신 구속의 일환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구원해 내시고, 그들을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시기로 결정하셨습니다.

출애굽기 3장 10절에서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말씀하십니다:

"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로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

이 구절은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도구로 선택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출애굽과 홍해 사건

출애굽과 홍해 사건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하나님의 능력으로 애굽에서 해방된 구원 사건으로, 구약 교회의 중요한 순간입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보호하시고, 그들을 구속하시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출애굽기 14장 21-22절에서 모세가 홍해를 가르는 장면이 묘사됩니다:

"모세가 바다 위로 손을 내어밀매 여호와께서 큰 동풍으로 밤새도록 바닷물을 물러가게 하시니 물이 갈라져서 바다가 마른 땅이 된지라.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니."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위해 기적을 베푸신 것을 보여줍니다.

5. 시내산에서의 언약: 이스라엘의 교회로서의 형성

시내산에서의 언약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식으로 세워지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해 율법을 주시고, 이스라엘 민족과 언약을 맺으셨습니다. 이는 이스라엘이 구약 교회로서 공식적으로 형성되는 순간입니다.

(1) 시내산에서의 율법 수여

시내산에서의 율법 수여는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법을 받고, 그에 따라 살아가도록 부름받은 사건입니다. 율법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서 살아가야 할 기준을 제시합니다.

출애굽기 19장 5-6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씀하십니다: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가 열국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이 구절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법을 지키며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도록 부름받았음을 보여줍니다.

(2) 언약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

언약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은 시내산에서의 언약을 통해 확립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특별한 백성으로, 그의 율법을 따르며 그분의 인도하심을 받는 존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출애굽기 24장 7-8절에서 이스라엘 자손은 하나님의 언약을 받아들이며, 언약 백성으로서 확립됩니다:

"모세가 그 언약서를 가져다가 백성에게 낭독하여 들리매 저희가 가로되 여호와의 모든 말씀을 우리가 준행하리이다. 모세가 그 피를 취하여 백성에게 뿌리며 가로되 이는 여호와께서 이 모든 말씀에 대하여 너희와 세우신 언약의 피니라."

이 구절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언약을 받아들이며, 구약 교회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아브라함에서 시내산까지의 구약 교회

아브라함에서 시내산까지의 구약 교회는 하나님의 구속사적 계획이 점진적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시기 동안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에게 언약을 주시고, 이스라엘 민족을 형성하시며, 그들을 통해 그의 뜻을 이루셨습니다.

현대 신자들은 이 시기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구속의 계획을 깨닫고,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구원의 완성을 바라보며 신앙생활을 이어가야 합니다. 구약 교회의 역사는 오늘날 교회가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그분의 구속사적 계획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