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헤르만 바빙크

헤르만 바빙크 「개혁교의학」 제4권 교회와 종말

정목사! 2024. 6. 22. 22:46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 제4권은 교회와 종말에 대해 다룹니다. 이 글에서는 바빙크의 신학적 틀을 통해 교회의 본질과 사명, 성례전, 교회의 직분, 그리고 종말론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30,000자 이상에 걸쳐 상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1. 교회의 본질

1.1 교회의 정의

1.1.1 성경적 정의

바빙크는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정의합니다. 신약 성경에서 교회를 가리키는 '에클레시아(Ekklesia)'는 '불러냄을 받은 자들'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세상에서 불러내어 자신의 백성으로 삼으신 공동체를 의미합니다(마태복음 16:18, 사도행전 2:42-47).

1.1.2 하나님의 백성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People of God)으로서, 구약에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이었듯이 신약에서는 교회가 하나님의 새로운 언약 공동체로 서게 됩니다(베드로전서 2:9-10). 교회는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으로서 그의 영광을 선포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1.2 교회의 본질적 특성

1.2.1 거룩함

교회는 거룩한 공동체입니다. 이는 교회가 하나님께로부터 불러냄을 받아 세상과 구별된 존재임을 의미합니다. 교회의 거룩함은 하나님의 임재와 그의 성령의 사역을 통해 유지됩니다(에베소서 5:25-27).

1.2.2 보편성

교회는 보편적 공동체입니다. 이는 교회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며, 모든 인종, 민족, 문화 속에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들을 포함합니다. 보편성은 교회의 일치를 의미합니다(에베소서 4:4-6).

1.2.3 사도성

교회는 사도적 공동체입니다. 이는 교회가 사도들의 가르침과 전통 위에 세워졌으며,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 가르침을 따르는 공동체임을 의미합니다(에베소서 2:20).

1.2.4 통일성

교회는 통일된 공동체입니다. 이는 교회가 하나님의 한 몸으로서, 성령 안에서 하나로 연합된 공동체임을 의미합니다. 교회의 통일성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며, 성도들 간의 사랑과 교제를 통해 나타납니다(고린도전서 12:12-27).

2. 교회의 사명

2.1 예배

2.1.1 하나님 중심의 예배

교회의 첫 번째 사명은 예배입니다.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경배와 찬양으로, 교회 공동체의 중심적인 활동입니다(요한복음 4:24). 바빙크는 예배가 하나님 중심적이어야 하며, 그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합니다.

2.1.2 공동체 예배

예배는 공동체가 함께 하나님을 경배하는 시간입니다. 이는 성도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을 찬양하고, 말씀을 듣고, 성례를 행하며, 기도하는 시간을 포함합니다(히브리서 10:25).

2.2 교육

2.2.1 신앙 교육

교회의 두 번째 사명은 교육입니다. 이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배우고, 신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며, 그들의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디모데후서 2:2). 바빙크는 신앙 교육이 교회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강조합니다.

2.2.2 제자 훈련

제자 훈련은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장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이는 성경 공부, 기도 모임, 소그룹 활동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마태복음 28:19-20). 제자 훈련은 성도들이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중요한 사역입니다.

2.3 선교

2.3.1 복음 전파

교회의 세 번째 사명은 선교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세상에 전파하고,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는 사명입니다(사도행전 1:8). 바빙크는 선교가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 중 하나라고 강조합니다.

2.3.2 사회적 책임

교회의 선교 사명은 단순히 복음 전파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포함합니다. 이는 가난한 자를 돌보고, 불의를 바로잡으며,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야고보서 1:27).

2.4 교제

2.4.1 성도의 교제

교회의 네 번째 사명은 교제입니다. 이는 성도들이 서로 사랑하고, 돌보고, 격려하며, 하나님의 가족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사도행전 2:42). 바빙크는 성도의 교제가 교회의 중요한 사역 중 하나라고 강조합니다.

2.4.2 공동체 생활

교제는 교회 공동체가 함께 모여 예배하고, 식사를 나누며, 서로의 필요를 돌보는 생활을 포함합니다. 이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그 사랑을 나누는 공간이 됩니다(히브리서 10:24-25).

3. 교회의 직분

3.1 목회자

3.1.1 목회자의 역할

목회자는 교회의 영적 지도자로서, 말씀을 선포하고, 성례를 집행하며, 성도들을 돌보는 역할을 합니다(디모데전서 3:1-7). 바빙크는 목회자가 성경에 근거한 가르침을 통해 성도들을 양육하고 인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3.1.2 목회자의 자질

목회자는 도덕적 순결과 영적 성숙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그의 삶과 가르침이 일치하며, 성도들에게 본이 되는 삶을 살아야 함을 의미합니다(디도서 1:5-9).

3.2 장로

3.2.1 장로의 역할

장로는 교회의 영적 지도자들로, 목회자와 함께 교회의 사역을 지도하고 성도들의 신앙을 돌보는 역할을 합니다(디모데전서 5:17). 바빙크는 장로의 역할이 교회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합니다.

3.2.2 장로의 자질

장로는 성숙한 신앙과 도덕적 순결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그의 삶과 가르침이 성경에 일치하며, 교회의 영적 지도자로서 신뢰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합니다(베드로전서 5:1-3).

3.3 집사

3.3.1 집사의 역할

집사는 교회의 봉사와 구제 사역을 담당합니다. 이는 교회의 물질적 필요를 돌보고, 가난한 자와 병든 자를 돕는 역할을 포함합니다(디모데전서 3:8-13). 집사는 교회의 중요한 봉사직분으로, 성도들을 섬기고 돕는 역할을 합니다.

3.3.2 집사의 자질

집사는 도덕적 순결과 성실한 신앙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그의 삶이 성경에 일치하며, 교회의 봉사자로서 신뢰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합니다(사도행전 6:3).

4. 교회의 성례전

4.1 침례

4.1.1 침례의 의미

침례(Baptism)는 신앙 고백의 표현이자, 성도가 그리스도와 연합되고 교회의 일원이 되는 표식입니다. 침례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행해지며(마태복음 28:19), 신자의 죄 씻음과 새 생명에 대한 상징입니다(로마서 6:3-4).

4.1.2 침례의 집행

침례는 교회의 권위 아래 집행되며, 이는 신앙 공동체가 새로운 신자를 환영하고 그를 돌보는 책임을 의미합니다. 침례는 물을 사용하여 신자의 죄 씻음을 상징하며, 이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참여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4.2 성찬

4.2.1 성찬의 의미

성찬(Lord's Supper)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하고 그의 몸과 피를 상징하는 예식입니다. 이는 성도들 간의 연합과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표현하며, 그의 구속 사역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고린도전서 11:23-26).

4.2.2 성찬의 집행

성찬은 떡과 포도주를 나누는 예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상징합니다. 이는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기념하고, 그의 은혜를 기억하며 감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성찬은 교회의 권위 아래 집행되며, 이는 신앙 공동체가 함께 참여하는 예식입니다.

5. 종말론

5.1 종말의 본질

5.1.1 종말론의 정의

종말론(eschatology)은 그리스어 'eschatos'에서 유래한 말로, '마지막', '종말'을 의미합니다. 종말론은 세계와 인간의 역사의 궁극적인 운명에 대해 다루는 신학적 분야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이루어질 최후의 사건들과 그 의미를 설명합니다.

5.1.2 종말론의 성경적 기초

종말론은 성경에 근거한 교리로, 구약과 신약에서 모두 언급됩니다. 구약에서는 메시아의 오심,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 의인과 악인의 심판,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예언 등을 포함합니다(이사야 65:17-25, 다니엘 12:1-3).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과 재림을 중심으로 종말론을 전개합니다(마태복음 24:30-31, 요한계시록 21:1-4).

5.2 죽음과 사후 세계

5.2.1 인간의 죽음

죽음은 육체와 영혼의 분리를 의미합니다. 성경은 죽음을 죄의 결과로 설명하며(로마서 5:12), 모든 인간이 죽음을 맞이하게 됨을 가르칩니다(히브리서 9:27).

5.2.2 영적 죽음

영적 죽음은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을 의미합니다. 이는 죄로 인해 인간이 하나님과의 교제를 잃고 영적으로 죽은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통해 영적 죽음에서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에베소서 2:1-5).

5.2.3 중간 상태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는 죽음과 최후의 부활 사이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바빙크는 이 중간 상태에서 성도의 영혼은 주님의 임재 안에서 평안과 안식을 누리며(빌립보서 1:23), 불신자의 영혼은 고통과 심판을 경험한다고 설명합니다(누가복음 16:19-31).

5.3 그리스도의 재림

5.3.1 재림의 성경적 근거

그리스도의 재림(Second Coming)은 신약 성경에서 명확히 예언된 사건입니다. 예수님 자신이 그의 재림을 약속하셨으며(마태복음 24:30-31), 사도들도 이를 강조하였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4:16-17).

5.3.2 재림의 본질

5.3.2.1 가시적 재림

바빙크는 그리스도의 재림이 가시적이며,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사건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비밀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포될 사건입니다(요한계시록 1:7).

5.3.2.2 권능과 영광으로의 재림

그리스도의 재림은 그의 첫 번째 오심과는 달리, 권능과 영광으로 이루어집니다. 예수님은 심판주로 오셔서 모든 민족을 다스리시고, 그의 왕국을 완성하실 것입니다(마태복음 25:31-32).

5.3.3 재림의 징조

5.3.3.1 복음의 전파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복음은 모든 민족에게 전파되어야 합니다(마태복음 24:14). 바빙크는 이 징조가 재림의 필수 조건임을 강조합니다.

5.3.3.2 대환난

바빙크는 대환난(great tribulation)이 재림의 중요한 징조 중 하나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세상의 큰 고난과 혼란을 의미하며,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했음을 나타냅니다(마태복음 24:21-22).

5.3.3.3 적그리스도의 출현

적그리스도(Antichrist)의 출현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앞두고 일어날 사건입니다. 그는 거짓 메시아로서 많은 사람들을 미혹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을 박해할 것입니다(데살로니가후서 2:3-4).

5.4 최후의 심판

5.4.1 심판의 성경적 근거

최후의 심판(Final Judgment)은 성경에서 명확히 가르치는 교리입니다. 하나님은 의로우신 심판주로서, 모든 인간의 행위에 따라 심판하실 것입니다(마태복음 25:31-46, 요한계시록 20:11-15).

5.4.2 심판의 본질

5.4.2.1 예수 그리스도의 심판

최후의 심판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집행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심판주로서, 모든 인류의 행위와 마음을 심판하실 것입니다(사도행전 17:31).

5.4.2.2 공의로운 심판

바빙크는 최후의 심판이 공의로우며, 하나님의 절대적인 공의와 사랑이 드러나는 사건이라고 설명합니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행한 대로 심판을 받을 것이며, 이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것입니다(로마서 2:6-8).

5.4.3 심판의 결과

5.4.3.1 의인과 악인의 분리

최후의 심판에서는 의인과 악인이 분리됩니다. 의인은 영생에 들어가며, 악인은 영원한 형벌을 받게 됩니다(마태복음 25:46). 바빙크는 이 분리가 영원한 운명을 결정짓는다고 강조합니다.

5.4.3.2 영생과 영벌

의인은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되며, 이는 하나님과의 완전한 교제를 의미합니다(요한계시록 21:3-4). 반면, 악인은 하나님의 임재에서 영원히 분리되어 형벌을 받게 됩니다. 이는 지옥에서의 영원한 고통을 의미합니다(요한계시록 20:15).

5.5 새 하늘과 새 땅

5.5.1 새 하늘과 새 땅의 성경적 근거

새 하늘과 새 땅(New Heaven and New Earth)은 성경의 예언된 미래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현재의 하늘과 땅을 새롭게 하시고, 그의 백성들과 함께 영원히 거하실 곳을 의미합니다(이사야 65:17, 요한계시록 21:1).

5.5.2 새 하늘과 새 땅의 본질

5.5.2.1 창조의 회복

바빙크는 새 하늘과 새 땅이 단순히 새로운 창조가 아니라, 현재의 창조가 새롭게 회복되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의 원래 목적을 완성하시는 것을 의미합니다(로마서 8:19-21).

5.5.2.2 완전한 상태

새 하늘과 새 땅은 완전한 상태로서, 죄와 고통, 슬픔이 없는 곳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과 함께 영원히 거하시는 완전한 공동체를 의미합니다(요한계시록 21:4).

5.5.3 새 하늘과 새 땅에서의 삶

5.5.3.1 하나님과의 완전한 교제

새 하늘과 새 땅에서의 삶은 하나님과의 완전한 교제를 포함합니다. 이는 성도들이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하며, 그의 영광을 누리고 찬양하는 삶을 의미합니다(요한계시록 22:3-5).

5.5.3.2 의와 평화의 나라

새 하늘과 새 땅은 의와 평화의 나라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완전하게 실현된 곳으로, 성도들이 서로 사랑하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공동체를 의미합니다(베드로후서 3:13).

6. 종말론의 현대적 적용

6.1 개인적 신앙 생활

바빙크의 종말론은 개인의 신앙 생활에 중요한 적용점을 제공합니다. 이는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최후의 심판을 준비하며,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가도록 도전합니다. 종말론은 우리로 하여금 성결하고 경건한 삶을 살아가도록 격려합니다(베드로후서 3:11-12).

6.2 교회의 사역

종말론은 교회의 사역에도 중요한 적용점을 제공합니다. 이는 교회가 복음을 전파하고, 제자를 삼으며, 사랑과 섬김을 실천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며, 그의 왕국을 확장하는 사역을 감당해야 합니다(마태복음 28:18-20).

6.3 사회적 책임

바빙크의 종말론은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이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며, 사회적 불의를 바로잡고, 약자를 돌보는 삶을 살아가도록 촉구합니다. 종말론은 우리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며, 그의 나라를 이 땅에 실현하는 데 기여하도록 합니다(야고보서 1:27).

결론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 제4권은 교회와 종말에 대한 심도 있는 신학적 탐구를 제공합니다. 바빙크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 성례전, 교회의 직분, 그리고 종말론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철저히 성경에 기초한 설명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신학적 탐구는 우리의 신앙을 더욱 깊고 풍성하게 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