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이 헷갈리기 쉬운 때
서론
조현삼 목사는 성도들이 구원에 대해 헷갈릴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성경적인 시각으로 풀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알곡과 가라지 비유, 알곡과 쭉정이 비유, 좋은 나무와 못된 나무 비유, 버림받을까 두려운 경우, 요한계시록의 이기는 자 관련,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와 관련된 오해, 은혜와 율법 관련 헷갈림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1. 알곡과 가라지 비유
알곡과 가라지 비유는 마태복음 13장에 나옵니다. 이 비유에서 예수님은 천국을 좋은 씨를 뿌린 사람과 같다고 비유하시며, 원수가 가라지를 덧뿌린 상황을 설명합니다. 종들이 가라지를 뽑으려 했으나 주인은 추수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게 두라고 했습니다. 이 비유에서 땅을 교회로 생각하면 구원에 대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 비유를 통해 마지막 심판 때까지 선과 악이 함께 존재함을 설명하셨습니다.
2. 알곡과 쭉정이 비유
알곡과 쭉정이 비유도 마찬가지로 교회 내의 참된 신자와 거짓 신자를 구분하는 비유로 볼 수 있습니다. 쭉정이는 껍질만 있고 알맹이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비유는 성도들이 구원에 대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참된 믿음을 가지도록 경고하는 메시지입니다.
3. 좋은 나무와 못된 나무 비유
좋은 나무와 못된 나무 비유는 마태복음 7장 17-20절에 나옵니다. 예수님은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는다고 하셨습니다. 이 비유는 행위와 열매를 통해 신앙의 진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구원받은 성도는 좋은 열매를 맺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4. 버림받을까 두려운 경우
고린도전서 9장 27절에서 바울은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라"고 말합니다. 이 구절은 상과 관련된 것으로, 바울이 구원을 잃을까 두려워한 것이 아니라, 신앙의 경주에서 상을 받지 못할까 두려워한 것입니다. 성도들은 구원에 대한 두려움 없이 믿음의 경주를 지속해야 합니다.
5. 요한계시록의 이기는 자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이기는 자'는 여러 교회에 주어진 메시지에서 등장합니다. '이기는 자'는 끝까지 믿음을 지키는 성도를 의미하며, 구원받은 자가 믿음의 경주를 끝까지 완주할 것을 권면합니다. 이기는 자에게 주어진 약속들은 천국에서의 상급을 의미합니다.
6.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
마태복음 7장 21절에서 예수님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천국에 들어가리라"고 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히 예수님을 주로 고백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성도들은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통해 구원을 확신해야 합니다.
7. 은혜와 율법
구원에 대해 은혜와 율법의 관계를 헷갈려하는 성도들이 있습니다. 바울은 에베소서 2장 8-9절에서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말합니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것이며, 인간의 행위나 율법의 준수가 아닌 믿음으로 받는 것입니다.
8. 헷갈리게 하는 가르침
성경을 오해하거나 잘못된 가르침을 받으면 구원에 대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조현삼 목사는 성경을 바르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성경을 통해 구원의 진리를 명확히 알고, 흔들림 없는 신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조현삼 목사는 성도들이 구원에 대해 헷갈리지 않고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성경의 다양한 비유와 가르침을 바르게 해석하여 설명합니다.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며, 성도들은 이 믿음을 통해 흔들림 없는 신앙 생활을 이어가야 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성도들은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행복한 신앙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신앙책 요약 > "구원 설명서" - 조현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론: 이것이 우리의 구원이다 (0) | 2024.06.16 |
---|---|
5장: 구원에 이르는 믿음 (0) | 2024.06.16 |
4장: 이것이 구원이다 (1) | 2024.06.16 |
3장: 살아서 받는 구원의 이름은 행복이다 (0) | 2024.06.16 |
2장: 살아서 받는 구원이 있고 죽어서 받는 구원이 있다 (0) | 2024.06.16 |